2018. 5. 7. 16:07 맞춤법
아마 대부분의 경우가 '그리고 나서'로 사용을 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저 또한 '그리고 나서'와 '그러고 나서'를 번갈아 가며 사용을 하고 있는데, 올바른 표현법은 '그러고 나서' 입니다. 그리고 나서 (X) 그러고 나서 (O) '그러고 나서'가 올바른 표현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그리고 나서'라는 표현이 일반화가 되어버렸기에 혼동을 하지 않나라는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나서'의 경우는 문법적으로 설명을 할 수 없는 형태입니다. '그리고'와 '나서'를 구분하여 보면, '그리고'의 경우 접속부사인데, '나서'와 같은 보조 동사가 접속부사 다음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없기에 올바른 표현이 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나서'와 비슷한 형태로 '그리고는' 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 또한 ..
2017. 1. 3. 16:35 인터넷
구글 회원가입에 대해 보겠습니다. 선호하는 메일을 떠나서 안드로이드를 사용하신다면 구글 회원가입은 필수 이실텐데 간단한 절차로 회원가입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먼저 사이트 검색을 통해 구글로 이동하여 줍니다. 구글 사이트에서 보시면 우측 상단에 로그인 항목이 있습니다. 해당 항목을 클릭하여 줍니다. 현재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계정이 등록되어 있어서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이라는 항목이 되어 있는데 처음 이용을 하시는 경우에는 계정 만들기라는 항목으로 되어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되어 있다 하더라도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 항목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처음 접속하시는 분은 계정 만들기라는 항목으로 바로 나옵니다. 해당 항목을 선택하여 줍니다. 계정만들기 항목을 클릭 후에 아래 항목을 작성하여 주시면 되는데 특별히 ..
2016. 3. 7. 23:44 인터넷
갤럭시 노트3 공장초기화에 대해 볼텐데 휴대폰 설정에서 할 수 있는 초기화와는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서비스 센터에 가면 초기화를 해보겠다라고 하는데 그때 사용하는 방법이 포스팅에서 다룰 공장초기화 입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하실 수 있으니 하나씩 따라하시면 간편하게 하실 수가 있습니다. 먼저 초기화를 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볼륨 업 키와 전원버튼 그리고 홈 버튼을 동시에 눌렀다가 놓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사용할 부분이 5번째에 위치한 wipe data/factory reset 항목인데 이동을 하시려면 방향키를 통해 상하로 이동을 하시면 됩니다. 방향키를 눌러 해당 위치에 선택이 되면 전원 버튼을 한번 눌러 주시면 선택이 됩니다. 위에서 전원 버튼을 눌렀다면..
2014. 10. 20. 22:02 인터넷
엘지 유플러스 통신사 안내멘트 삭제 방법에 대해 보겠습니다. 유플러스 통신사를 이용한지 두달 가량되어 가는데, 전화를 사용할 때마다 통신사 안내멘트가 흘러나와 바로 삭제를 했던 기억이 납니다. 안내멘트가 전화 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라는 문구인데, 엘지 직원도 아니고, 전화를 걸 때마다 나오니 여간 불편한게 아니었습니다. 검색을 통해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찾아보니 앱타운이라는 어플을 찾아 이렇게 저렇게 하라고 되어 있는데, 현재는 관련 어플이 있지 않고 통화 도우미라는 어플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면 됩니다. 통화 도우미 어플을 실행하신 후 스크롤을 내려보면 필링 에티켓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기본 설정은 off로 전화주셔서 감사합니다. 라는 안내멘트가 나옵니다. 안내멘트 대신 기계음이..
2014. 10. 5. 18:32 인터넷
한번쯤 내가 사용하는 비밀번호는 안전할까? 라는 생각을 할 때가 있습니다. 인터넷 사이트 등을 통해서도 비밀번호 변경에 대한 안내가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전에는 이러한 메시지가 귀찮았지만 개인정보 유출이 많아진 만큼 신경이 쓰이기도 합니다. 개인이도 다양한 비밀번호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비밀번호 사용이 안전한지 확인 해 볼 수 있습니다. howsecureismypassword 위의 링크를 통해 접속하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비밀번호에 대한 안전성을 어느정도 확인 할 수가 있습니다. 아래 항목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시면 비밀번호를 푸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줍니다. 예전에 자주 사용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보았는데, 푸는데 걸리는 시간이 1초도 걸리지 않네요. 사용된 비밀번호는 숫..
2014. 9. 27. 21:53 인터넷
이전에 주정차지킴이 서비스와 관련된 기사를 보고 신청을 하려다가 안했던 적이 있습니다. 이유는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지자체마다 신청을 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불편함(?) 때문이지 주정차지킴이 서비스가 통합되어 한번의 신청으로 전국에서 사용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직까지는 실효성에 있어 의문점이 있지만 간편하게 신청할 수 가 있으니 이번 기회에 신청을 해두시는 것도 좋으리라 봅니다. 주정차 지킴이 통합 서비스 안내 위의 링크를 통해 접속하면 서비스 신청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각 항목에 동의를 해주셔야 합니다. 스크롤을 조금 내리시면 전체동의 항목이 있고, 휴대폰 인증을 통해 본인 확인과 차량번호, 휴대폰 번호, 이름 등의 정보를 입력하신후 서비스를 신청하시면 ..
2014. 9. 19. 21:35 프로그램
가계도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클라이언트를 중심으로 한 가계도를 그리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보통 한글이나 PPT 등을 이용하여 그리기도 하는데, 가족 구성원이 복잡한 경우에는 작업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때에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그리면 손쉽게 작업을 하실 수가 있는데, 몇몇 프로그램 중에 Geno Pro 라는 가계도 프로그램을 소개하려 합니다. Geno Pro 링크를 통해 사이트에 접속하면 바로 다운로드를 하실 수가 있는데, 설치 방법은 어려운게 없으니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 설치까지 완료하시고 실행하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 구성이 보이는데, 언어 영역에서 한국어로 설정해 주시면 좀 더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사용이 처음에는 어려울 수도 있겠지만, 몇번만 해보시면 생각보다 간단하다는 것을 느끼실 ..
2014. 9. 9. 14:30 맞춤법
인터넷이나 게임 등에 보면 상대방을 부를때 사용되는 호칭을 '님아'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 '님아'라는 표현이 잘못된 표현인지를 모르고 사용을 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상대방을 부를 때에는 '님아' 라는 호칭이 아닌 '님'이라는 호칭을 사용을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호칭에 있어서 '00씨' 또는 '00님' 이라고 사용을 하는데, '씨'의 호칭보다는 '님'이라는 호칭이 높임의 뜻을 사용이 됩니다. 님 : [의존명사] 그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씨7’보다 높임의 뜻을 나타낸다 '님아'의 경우 '님'과 호격조사 '아'가 결합된 말로 '아'의 경우 손아랫 사람이나 짐승을 부를 때 사용되는 호격조사입니다. 결국 '님아'라는 표현은 '님'이라는 높임말과 '아'라는 낮춤말이 결합된 단어라고 보시면 됩..
2014. 9. 3. 22:26 맞춤법
'금새'와 '금세'의 의미를 아시나요?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 아니라서 그런지 조금은 혼동되는 단어입니다. 금새 : 물건의 값. 또는 물건값의 비싸고 싼 정도. 금세 : 지금 바로. '금시에'가 줄어든 말로 구어체에서 많이 사용된다. '금새'의 경우 물건의 값이라는 의미를 가지는데, 보통 유사어로 사용되는 '시세'를 보편적으로 사용을 하다보니 '금새'라는 단어가 생소하기도 합니다. '금세'의 경우 '지금 바로'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금시에'가 줄어든 말이라고 하니 금 시+에(세) 라고 기억하시면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 두 단어 모두 발음이나 표기가 비슷해서 혼동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금세'를 먼저 생각해 보면 혼동되는 일은 좀 줄어들 것 같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을..
2014. 9. 3. 17:42 맞춤법
돈이나 물건 따위를 남에게 옮기다라는 의미를 가진 (건내다, 건네다) 이 중 올바른 표현은 건네다 입니다. 물건을 건내었습니다. 말을 건내었습니다. 얼핏 보기에는 표기상의 문제가 없어보이지만, 두 문장 모두 틀린 표현입니다. 물건을 건네었습니다. (O) 말을 건네었습니다. (O) '건내다'가 '건네다'로 되어야 하는데, 표기함에 있어서 자주 틀리는 부분입니다. 혼동하기 쉬운 단어들을 보면 대부분 발음이 비슷한 경우가 많은데, '건네다'의 경우도 '네'와 '내'의 발음으로 인해 틀리기 쉬운 부분입니다. '건네다'를 기억하기 쉬운 팁을 드리자면, '건네다'의 의미가 돈이나 물건 등을 남에게 옮기는 것, 즉 '내'가 아닌 '네'게 가는 것이기에, '건네다'로 기억을 하시면 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
2014. 9. 3. 14:02 맞춤법
첫 번째를 표기하실 때 어떻게 하시나요? 첫번째 (O) 첫 번째(X) 맨 처음의 뜻을 나타내는 '첫' 과 차례나 횟수를 의미하는 '번째'가 합쳐져 사용되는 첫 번째 일반적으로 '첫 번째'를 표기하실 때 '첫'과 '번째'를 띄어쓰기 보다는 붙여서 사용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첫번째'라고 표기를 하신다면 '첫 번째'로 표기하시는게 올바른 표현이 됩니다. '첫 번째'와 마찬가지로, '두 번째', '세 번째'... 역시 모두 '첫'과 '번째' 사이를 띄어 사용해야 합니다. 두자리수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이 되는데, 예를 들면 '열한 번째', '열두 번째' 등과 같이 띄어쓰기를 해주어야 합니다. '첫 번째'가 아닌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등과 같이 사용을 한다면, 한자리수의 경우 크게 문제될 부분은 ..
2014. 9. 3. 12:27 맞춤법
별로 어려움이 없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무난하다,문안하다) 올바른 표현은 무난하다 입니다. 이때 사용되는 무난(無難)은 없을 무에 어려울 난 을 사용해서 어려움이 없다. 라는 표현인데, 무난과 문안 모두 발음이 비슷해서 실생활에서는 잘 모르지만 표기를 해보면 상당 부분 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난번에 갔었던 커피숍 어땠어? 뭐.. 문안했어. 라고 한다면 잘못된 표현입니다. 올바른 표현은 무난했어. 라고 사용을 해야 합니다. 무난과 자주 혼동하는 문안(問安)의 경우 물을 문에 편안 안을 사용합니다. 익히 알고 있듯이 웃어른께 안부를 여쭐때에 문안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무난하다 : [형용사] 1. 별로 어려움이 없다. 2. 이렇다 할 단점이나 흠잡을 만한 것이 없다. 문안하다 : [동사] ..
2014. 9. 2. 02:35 맞춤법
'일년만에' 라는 단어 사용에 있어서 띄어쓰기는 어떻게 하시나요? 일년만에 (X) 일 년 만에 (O) 보통 아라비아 숫자로 표현을 할 때에는 1년, 2년과 같은 형식으로 표현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아라비아 숫자가 아닌 표현에 있어서는 띄어쓰기가 달라지게 됩니다. 1년은 일 년으로 표현해야 하며, 2년 또한 이 년과 같이 표현을 해주어야 합니다. 여기까지 적용을 해보면, '일 년만에'라고 표현을 할 수 있는데, 한가지 더 보셔야 할 부분이 '만'이라는 표현입니다. '만'의 경우는 단위나 수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띄어쓰기를 해주어야 합니다. 적용해 보면 '일 년 만에'라고 표현을하셔야 합니다. 반면에 '만'의 사용이 한정이나 비교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붙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결론은 '일년만에'가 아닌 '일 ..
2014. 9. 2. 00:30 맞춤법
'-대로'와 '-데로'의 올바른 표현은 이것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대로 : 상태 데로 : 장소 '-대로'의 사전적 정의는 어떤 모양이나 상태와 같이 또는 어떤 상태나 행동이 나타나는 그 즉시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데로'의 경우는 곳이나 장소의 뜻을 나타내거나 일이나 것의 뜻을 나타내는 말에 사용이 됩니다. 사전적 의미를 통해 정의해 볼 때에 대로는 상태를 나타낼때에 사용을 할 수 있고, 데로는 장소를 나타낼때에 사용을 하신다고 보면 이해가 쉬울거라 봅니다. 예를 들면, 생각하는 (대로, 데로)에서 올바른 표현은 생각하는 대로가 맞는 표현이 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공감 버튼을 눌러주세요. ^^ 감사합니다.
2014. 9. 1. 15:55 맞춤법
'오랫만에'와 '오랜만에'의 올바른 표현은 '오랜만에'가 사용이 되어야 합니다. 오랫만에 (X) 오랜만에 (O) '오랜만에'는 '오래간만'의 준말로 사용이 됩니다. 의미로는 어떤 일이 있은 때로부터 긴 시간이 지난 뒤의 의미를 가지는데, '오랜만에'가 아닌 '오랫만에'로 사용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올바른 표현은 '오랜만에'가 맞습니다. '오랫만에'는 올바른 표현은 아니지만, '오랫동안'이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아마 '오랫동안'이라는 표현을 아시기에 '오랜만에'와 혼동이 있었을거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오랫동안'은 시간상으로 썩 긴 동안이라는 의미를 가지는데, '오랜만에'와 같이 시간상의 의미로 볼 수 있지만, 조금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오랜만에'의 경우는 어떤 일이 있은 때로부터 시간이 지난 뒤의 의..